구름문 저너머에 운문사가 있어서
운문(雲門)은 구름문입니다. 거기에 절집이 있고 절집을 거처 내려오는, 길옆을 흐르는 계곡물은 어찌나 맑고 깨끗한지 그야말로 옥수였습니다. 청도의 운문사는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에 있는 사찰로 「운문사사적」에 의하면,
557년(진흥왕 18년)에 한 신승(神僧)이 북대암 옆 금수동에 작은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수도하여 도를 깨닫고 도우(道友) 10여 인의 도움을 받아 7년 동안 동쪽에 가슬갑사, 서쪽에 대비갑사(현, 대비사),
남쪽에 천문갑사(현, 운문사), 북쪽에 소보갑사를 짓고 중앙에 대작갑사를 창건하였으나 현재 남아 있는 곳은 운문사와 대비사 뿐이라 합니다.
그후 600년 (신라 진평왕 22) 원광 국사가 중창하였고, 원광국사는 만년에 가슬갑사에 머물며 일생 좌우명을 묻는 귀산과 추항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고 합니다.
[삼국유사] 보양이목조에는 "후삼국을 통일하면서 태조왕건은 운문사에 있던 보양국사의 계책으로 이 일대를 평정하였다. 그 뒤 후삼국의 사회적 혼란을 어느 정도 수습한 왕건은 937년(태조 20년), 대작갑사에 '운문선사'라는 사액과 함께 전지 500결을 하사하였다." 고 합니다. 이 때부터 대작갑사는 운문사로 개칭되었고, 경제적 기반을 튼튼히 구축한 대찰로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찰앞에 벚꽃은 지고 늦동이 한 그루가 피어있어 오는 객을 맞고있었습니다.운문사는 일주문은 없고 이 범종각이 일주문을 대신하고 있었지요.
마침 12시가 되자 스님이 범종을 타종하고 계셨습니다.
종소리가 맑고 우렁차며 여운은 길 게 남아 듣는 이들 모두가 절로 마음을 단정히 하는 계기가 되기가 되었지요.
석탄일이 가까워 옵니다. 스님두분이 내방객들에게 연등 접수를 받고 있었습니다.
운
운문사 뜰 평탄한곳에 있는 이 소나무는 어느 대사가 지팡이를 꽂아 자랐다는 전설이 있답니다. 임진왜란과 6.25동란 때 수 차례 무리들의 방화로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었으나 이 처진소나무만은 재앙을 면할 수 있었다고하네요.
봄이면 막걸리 12말을 12말의 물에 타서 뿌리에 부어주는 행사를 계속하고 있고 수형이 매우 아름답고 가지가 처지는 소나무로서는 우리나라 최대의 것이라 합니다.
경내에는 우리나라 사찰 중 가장 규모가 큰 만세루(萬歲樓)가 있습니다.
스님들의 학업 정진 장소로도 활용되고 어린이 불교학교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있습니다.
대웅보전입니다. 운문사는 대웅전이 둘인데 이 건물은 새로 불사한 것이고 옛부터 전해오는 대웅전은 새로 보수중이었습니다.
오백전과 대웅전앞의 쌍탑은 상층기단에는 앉아 있는 팔부중상이 세련되게 조각되어 있으며 한 돌로 된 옥신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습니다. 옥개석에는 5단의 받침 층단을 새겼으며 추녀가 반등이 심하지 않아
경쾌하고 날씬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지요. 상륜부에는 노반, 복발, 앙화가 남아 있고 기단 일부가 새 돌로 보수되어 있었습니다. 탑의 전체 높이는 5.4m이고 기단의 탱주가 2개이던 것이 위층에서 1개로 줄어들고 표면이 장식된 점으로 보아 9세기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귀한 탑을 아주 잘 보고왔습니다.
오백전 내부입니다.
오백전 내부입니다.
경내입니다.
스님들의 수행도량이라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작압전입니다. 석조여래좌상과 사천왕석주가 봉안된 곳입니다.
운문사 작압전에 봉안된 석조여래좌상의 좌우에 2개씩 배치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사천왕석주로 보물 제318호입니다. 4개의 길다란 석주에 사천왕상을 1구씩 부조로 조각했는데 부분적으로 채색을 칠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작압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석불좌상으로 보물 제317호입니다. 높이 불상 63cm, 대좌 41cm, 광배 92cm.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운문사는 비구니 스님들이 이곳에서 경학을 수학하고, 계율을 수지봉행하고 있으며,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는 백장 청규를 철저히 실천하고 있답니다. 운문승가대학은 국내 승가대학 가운데 최대의 규모와 학인수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운문사 경내에서 바라본 북대암입니다. 오르는 길은 조금 가파라도 25분 정도면 올라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