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합예술인 기생’ 재조명 전시회 -* 임진왜란 당시 왜군 적장을 안고 진주 남강으로 뛰어내려 산화했던 논개, 사회구호 활동을 펼쳤던 제주기생 만덕…’
한본도 지도에 승무를 추는 기생을 그려넣어 식민지 여인들을 점령했다는 침략자의 오만함을 표현했다. 그러나 조선시대 신분제 사회에서 기생은 양반 사회의 주변에 머물며 문장과 음악에 능했던 여성집단이었다. 노래, 춤, 악기를 배우는 한편 시조, 가무, 한문, 시, 서 등 5과목을 체계적으로 교육받았다.
그가 프랑스의 친지에게 보냈던 이 엽서의 앞면에는 영어로 조선의 가수와 하녀라고 쓰여 있다. 이들은 종합예술인이었지만 양반들의 성적노리개였던 만큼 평생을 사회적 편견과 비애에 시달릴 수 밖에 없는 존재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때는 예술인의 기능은 사라지고 단순한 성적 노리개로 삼아 더욱 슬픈 계층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단정한 머리 자식의 조선 무희의 뒷모습. -채색엽서-
‘기생’만을 단독 주제로 삼은 첫 전시회다. 원판 사진엽서와 고미술품, 현대미술품, 규방용품, 여성장신구, 고증한복, 관련 영상 등을 통해 기생들의 지난 족적을 다각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는 기생의 미와 예를 천천히 다시 보기 위한 친절한 장치다.
특히 1900년대 초반 일제 조선총독부 등에서 식민지 홍보로 삼은 수단이면서 근대 회화적 표현으로 주목 받았던 500여장의 사진엽서도 함께 공개된다. 기생들이 여가 시간에 담배를 피우며 바둑을 두고 있다. -채색엽서- 전시장에서는 현대미술이 고전 기생을 바라보는 시각도 좀더 엿볼 수 있다. 사진작가 배준성씨의 독특한 '기생옷 입히기' 작품과 윤석남씨의 설치조각들이 그것. 가야금 앞에 앉아 있는 동기(童妓)들의 모습 -흑백엽서-
당대 상류층 남성과 교류를 위해 지적능력을 갖추고 자기표현이 가능했던 유일한 존재였다”라며 “그들의 예술적 성과에 주목한 전시회다”고 설명했다.
서화(書畵)에 정진하고 있는 기녀의 모습. -흑백엽서-
서울 명월관에서 음악에 맞춰 춤추는 기생들. -흑백엽서- |
'♣ 방명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옛날에 살던 모습들 ㅎ (0) | 2008.10.31 |
---|---|
[스크랩] 한국의 기생에 대한 모든것 (0) | 2008.10.31 |
[스크랩] 우리를 슬프게 하는 빛바랜 사진들 (0) | 2008.10.31 |
[스크랩] 100년전 부산 모습 (0) | 2008.10.31 |
[스크랩] 야인시대 실제 모습들. (0) | 2008.10.31 |